-
주식초보에게 필요한 주식용어 BPS,PBR 아주쉽게 설명Economics 2020. 3. 22. 12:06반응형
주식용어 BPS
BPS는 주당순자산가치 라는 뜻입니다. 가치투자로 장기투자를 하던 단기투자를 하던 투자자는 기업의 청산가치를 반드시 알고 투자를 해야 합니다. 만약 어떤 기업이 문제로 기업 활동을 중단하고 기업의 자산을 청산하여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한주당 얼마씩 돌아가는지를 나타내는 지표가 BPS 이기 때문에 종목에 투자하기전 반드시 확인하고 들어가야 합니다.
BPS= 기업의 순자산 ÷ 발행한 주식수BPS는 기업의 순자산(총자산-부채)을 발행한 총주식수로 나누면 됩니다. 예를 들어 순자산 1억 회사가 10,000개 주식을 발행 했다면 BPS는 10,000원 입니다. 이뜻은 기업이 문을닫고 순자산을 청산하면 적어도 1주당 1만원씩 돌아간다는 이야기 입니다.
그런데 이 기업의 주가가 현재 5,000원 이라면 기업의 청산 가치에 비하여 주가는 저평가 되었다 보는것이고 만약 주가가 100,000원 이라면 기업의 청산 가치에 비하여 고평가 되었다는 기준으로 삼을수 있습니다.
이것을 비율로 따진게 PBR 입니다.
주식용어 PBR
PBR을 어렵게 말하면 주가순자산비율 이라고 합니다. 어디가서 설명할거라면 주당순자산가치, 주가순자산비율 이라는 어려운 용어를 외워야 하겠지만 조용히 투자해 돈 많이 벌겠다 하면 이해만 하고 있으면 됩니다.PBR= 현재주가 ÷ BPS
예를들어 A기업의 BPS가 10,000원 이고 A기업의 현재 주가는 18,000원 이라면 PBR은 1.8 입니다. 그러니까 청산가치에 비해 현재 주가는 1.8배 높게 평가되어 있다는 뜻 입니다.
위에서 올린 사진을 다시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 코스피 1위 2위 기업 입니다. 어떻게 보이시나요? 게다가 배당을 주는 기업 입니다.
주식초보는 반드시 BPS, PBR 이해하고 기업을 고르셔야 부자가 될수 있습니다. 실적중심으로 회사의 가치를 평가하고 주가가 결정되는 기업은 PBR 이 상대적으로 낮고, 미래가치를 높게 평가받는 기업(바이오 제약, 벤처기업 등) 은 PBR이 굉장히 높습니다. 개인적으로 미래가치가 어떻든 어랜기간 실적이 없으면 거품처럼 꺼질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 합니다.
https://infiniteshare.tistory.com/entry/%EC%A3%BC%EC%8B%9D-per-eps-%EB%9C%BB
주식 per, eps 뜻
주식투자시 반드시 알야하는 per, eps 아주쉽고 가슴에 쾅 와닿게 설명해 볼까합니다. 2019년 초 주식투자 한다고 여기저기서 난리도 아니었습니다 주식계좌가 3천만개가 넘어섰다고 하니 대한민국 경제활동을 하..
infiniteshare.tistory.com
반응형'Econo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주주 요건 3억원 변경 초간단 완벽정리 (0) 2020.10.09 2020년 미국 주식 배당일 총정리 (0) 2020.03.23 미국주식 배당 언제 지급하나요? 지급일 정리 2020년 4월 5월 지급 (0) 2020.03.22 달러스와프, 통화스와프 뜻 (0) 2020.03.19 주식 per, eps 뜻 (0) 2020.03.18